컴퓨터에서 파일을 삭제하는 것 만으로는 디스크 공간이 절약되지 않습니다.
삭제된 파일은 휴지통으로 이동만 되며, 이 휴지통을 비워야만 해당파일이 디스크상에서 완전히 사라지게 되죠. (실제로 내가 아는 초보자의 경우 휴지통에 수년간의 삭제파일 수기가가 존재...)
따라서 디스크 공간을 정리하는데 휴지통 비우기는 필수 작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파일 생성/처리/삭제가 빈번한 사용자라면 파일정리를 할때마다 매번 휴지통을 비우는 것보다 휴지통 비우기를 정기적으로 할 수 있게 예약을 걸어 두면 편리한데요.
이때는 윈도우의 작업스케쥴러를 활용하면 되는데요.
오늘은 윈도우10에서 예약시간을 설정하여
휴지통을 자동으로 비우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단, 지워버린 파일이 다시 필요한 경우... 복구가 힘든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방법을 채택하기전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 따라 하기
1. 작업표시줄 '검색창' - '작업스케쥴러'를 실행합니다. ▼
2. 작업스케줄러 첫 화면에서 '작업 만들기' ▼
3. 새 작업 만들기 창 - 일반 탭 - 작업내용의 '이름'을 만들고, 구성대상에서 'Windows 10'을 선택합니다. ▼
4. 트리거 탭 - '새로 만들기' 선택 ▼
5. 작업을 시작할 시간과 작업 주기를 설정합니다. 그림의 경우 5/11 오후 5:00 부터 시작하고,,, 매일 오후 5시에 같은 작업을 반복하게 설정한 예입니다. ▼
6. 동작 탭 - '새로 만들기' 선택 ▼
7. 그림과 같이 동작 - 프로그램 시작, 프로그램/스크림트에 cmd.exe 를 인수 추가 옵션에 /c "echo Y|PowerShell.exe -NoProfile -Command Clear-RecycleBin" 를 입력합니다.
직접 입력할 경우의 시간 단축을 위해 본문 맨아래에 텍스트 파일로 첨부합니다. ▼
8. 작업등록이 완료되면 그림과 같이 '새 작업창'과 '작업스케줄러 창'에 해당 작업내역이 표시가 됩니다.
'꿀팁 > 윈도우10 사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 아는 사람만 아는 TAB키 사용법 (2) | 2020.11.20 |
---|---|
'파일 또는 디렉터리가 손상되었기 때문에 읽을 수 없습니다.'오류 해결 방법은? (2) | 2020.09.29 |
CHKDSK 명령어 바로 알기 (3) | 2020.09.16 |
윈도우10 휴지통 자동 비우기 설정하는 방법 (1) | 2020.05.11 |
절전모드 의미와 윈도우 절전모드 해제하는 방법 (3) | 2020.04.07 |
윈도우10 시스템 정보 쉽게 확인하는 방법 (1) | 2020.03.03 |
바탕화면 정리로 컴퓨터 빠르게 하는 방법 (1) | 2020.01.21 |
카카오톡 PC버전 단축키 사용하는 방법 (1) | 2020.01.05 |
비밀댓글입니다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