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Edge', '구글크롬 (Google chrome)등 웹브라우저를 이용 웹서핑시 Web 페이지를 볼 때, 조금 전에 보던 페이지로 다시 돌아가는 경우가 맣습니다. 이 때 대부분 원하는 페이지가 나올때까지 웹브라우저의 앞,뒤 버튼을 클릭을 합니다. 이럴 때는 앞,뒤 버튼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게 되면 과거에 열람된 Web 페이지의 목록이 표시되므로, 보고 싶은 페이지를 한번에 이동이 가능합니다.
Windows 10의 'Windows Ink 작업 영역'은 터치스크린이나 펜을 지원하는 시스템에서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런 기능 없이 마우스만 있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만 작업표시줄에 기본설정이 되지 않아 해당 기능이 존재하는지도 모르는 분들도 있을텐데요. 이번에는 터치마 펜을 지원하지 않는 시스템에서 'Windows Ink 작업 영역'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따라하기 1. 작업 표시줄에서 마우스 오른 버튼 메뉴 - 'Windows ink 작업 영역 단추 표시'를 선택합니다. ▼ 2. 그림과 같이 작업표시줄에 'Windows ink 작업 영역'아이콘이 나타나고 이것을 클릭하여 바로 작업이 가능합니다. ▼ 3. 업데이트 후 보이지 않았던 '스티커 메모'가 여기에 있군요. 사용..
윈도우10에서는 웹브라우저나 사진뷰어, 미디어플레이어 등 사용빈도가 높은 앱들은 윈도우10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앱의 사용을 권장하고 이들 앱을 기본앱으로 설정해두고 있습니다. 이들 기본 앱들 말고 사용자가 원하는 다른 앱으로 설치 후 새로 설치된 앱들을 기본앱으로 변경한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따라하기 * 여기서는 엣지로 기본설정되어 있는 웹브라우저 기본앱을 구글 크롬으로 변경하는 것을 예로 듭니다. 1. Windows 설정 - 앱 을 선택합니다. ▼ 2. 좌측에서 '기본앱' - '웹브라우저'에 기본 설정된 'EDGE'를 선택 ▼ 4. 앱선택 창에서 '크롬'을 선택하면 기본앱이 변경됩니다. ▼
컴 사용시 원인모를 이유로 인터넷 연결이 안되면 여러분은 어떻게 하시나요? 이럴때에 간단하게 윈도우 화면 하단 상태바에 있는 네크워크 아이콘의 상태로 어느정도 원인 파악이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유선랜 1. 디스플레이와 케이블만 표시된 아이콘 : 정상 2. 아이콘에 "x" 표시 : 케이블이 연결되지 않음. 3. 노란 삼각형에 " ! " 표시 : IP주소를 정상적으로 취득할 수 없을때, 라우터가 인터넷 접속되어 있지 않은 설정이나 회선의 문제로 네트워크 공유 센터에서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무선랜 1. 정상 상태 2. 회색의 * 아이콘 : 무선랜의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지 않은 상태 3. 노란 삼각형에 " ! " : 액세스 포인트로 연결은 되고 있지만 라루터 등에 문제가 있음. 4. 아..
윈도우10에서 지원하는 기본 웹브라우저는 엣지(edge)입니다. 마이크로 소프트는 엣지(edge)의 사용을 권장하기 위해 기존 웹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IE)를 숨겨(?)두고 있는데요. 윈도우10에서 호환성등의 문제로 IE를 사용하고 싶으나 좀 처럼 찾기 힘든 IE를 쉽게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따라하기 1. 가장 쉽게 IE 를 사용하는 방법은 엣지(edge)를 실행한 후 우측 상단 '...'을 클릭 - Internet Explorer에서 열기'를 선택하면 IE 가 새로운 창에서 해당 페이지를 보여줍니다. ▼ 2. 엣지(edge)보다 IE를 자주 사용하려면 아예 바탕화면에다 IE 바로가기를 만들면 됩니다. 윈도우10에서 IE는 'C드라이브 - Program Files - Internet Exp..
윈도우상에서 작업하는 문서들은 기본적으로 OS가 설치된 C 드라이브의 '내문서'폴더에 저장이 됩니다. 하지만 속도향상을 위해 많은 분들이 일반 하드디그크보다 용량이 적은 SSD 를 사용하는데 내문서 폴더에 파일들이 차곡차곡 쌓여지면 용량이 부족한 경우도 생기고, 중요한 문서들이 OS 문제등으로 포맷을 해야 할 경우 미처 백업하지 못 했을때의 불상사도 발생할 수가 있습니다. 이런 문제는 '다운로드' 폴더를 포함한 이른바 라이브러리 관련 폴더들 (내문서, 내비디오, 내음악, 내사진, 바탕화면 등)도 마찬가지입니다. 오늘은 윈도우에서 기본으로 설정되어있는 폴더를 다른 드라이브로 변경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따라하기* '내문서'폴더를 예로 듭니다만 앞서 얘기한 다른 폴더들도 동일한 방법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윈도우 10에서 휴지통이 바탕화면에만 있고 윈도우 탐색기에서는 보이지 않아 불편한 경우가 있는데요.이럴때는 탐색기에서 간단한 설정으로 휴지통을 바로 추가할 수 있으니 따라해 보세요. 따라하기1. 윈도우 탐색기를 실행한 후에 리본메뉴가 보이지 않으면 그림과 같이 우측 상단의 ∨ 를 클릭합니다. ▼ 2. 리본메뉴에서 '보기 탭 - 옵션'을 클릭합니다. ▼ 3. 폴더 옵션 창에서 '보기탭 - 고급설정 - 모든 폴더 표시'에 체크 ▼ 4. 탐색기에 휴지통과 제어판이 추가 되었습니다. ▼
실버라이트(Microsoft Silverlight)는 애니메이션, 벡터 그래픽스, 오디오-비디오 재생을 비롯한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원을 제공하는 마이크로 소프트에서서 개발한 웹 브라우저 플러그인으로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어도비 플래시, 어도비 플렉스, 어도비 쇼크웨이브, 자바FX, 애플 퀵타임과 같은 제품과 경쟁하고 있는데요. 간혹 오류가 발생을 하게 되면 업데이트가 또는 재설치가 불가한 경우가 생기는데 오늘은 간단하게 실버라이트(Silverlight) 에러를 해결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따라하기 1. 아래 링크를 방문하여 fix 파일을 다운로드합니다. ▼ 2. fix 실행후 아래와 같은 창이 나오면 '다음' ▼ 3. 'Install' 클릭 ▼ 4. 문제가 해결되면 아래와 같이 메세지 창을..
마우스 사용시 드래그 앤 드롭 (drag & drop)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는데요. 드래그 앤 드롭 (drag & drop)은 컴퓨터의 윈도우에서 내용(파일이나 아이콘)을 이동시키기 위해 입력 장치인 마우스의 왼쪽 버튼을 눌른 채로 마우스를 이동시킨(drag) 다음 마우스 버튼을 놓는 동작(drop)을 말합니다. 많은 분들이 마우스 왼쪽 버튼으로 파일을 drag & drop 하는 '파일 이동'의 기능을 주로 사용하는데 오늘은 좀 더 다양한 사용법을 소개할까 합니다. 따라하기 1. 파일 이동 :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왼쪽 버튼을 누른 상태로 원하는 곳에 파일을 drag & drop하면 '파일 이동'이 됩니다. (원래 위치에 파일이 없어짐) 2. 파일 복사 :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
윈도우 탐색기 실행시 첫화면에서 최근에 사용한 파일을 보여주는데요. 컴퓨터를 공용으로 사용하거나 개인 소유라도 다른 사람이 볼 수도 있는 경우에 사생활 보호(?)가 염려되는 상황입니다. 오늘은 '탐색기에서 최근에 사용한 파일 삭제'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따라하기 1. 윈도탐색기 실행 후 '바로가기'에서 마우스 오른쪽 메뉴 - '옵션'을 선택합니다. ▼ 2. '폴더 옵션'창에서 '개인 정보 보호'에 있는 두 가지 항목 모두 '체크 해제'합니다. ▼ 3. 탐색기를 다시 실행하면 '최근에 사용한 파일'이 보이지 않습니다. ▼
윈도 바탕화면에는 '내컴퓨터, 사용자 문서, 휴지통, 제어판, 네트워크'등의 기본프로그램이 아이콘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데요. 사용자가 실수로 삭제를 했는지 기타 다른 이유로 없어진 아이콘을 복원 또는 안보이게 하거나, 아이콘 모양을 변경할 수 있는 팁을 소개합니다. 바탕화면에 보여질 아이콘 선택하기 1. '설정' - '개인설정'을 선택 ▼ 2.' 테마' - '바탕화면 아이콘 설정' 선택 ▼ 3. '바탕화면 아이콘 설정 창'에서 바탕화면에 나타나게 할 프로그램 체크 후 '확인'하면 완료 ▼ 아이콘 모양 변경하기1. 아이콘을 변경할 프로그램 선택 후 '아이콘 변경' 버튼 클릭 ▼ 2. 맘에 드는 아이콘 선택 ▼ 3. 변경된 아이콘이 반영된 바탕화면 ▼
어제는 2017년 4월 11일부로 Windows Vista의 기술지원이 종료가 된다는 내용으로 포스팅을 했는데요. [참고] 2017/04/11 - [어떤오후의 뉴스/IT 뉴스] - WINDOWS VISTA 지원 종료 모든 Windows 제품에는 수명 주기가 있습니다. 수명 주기는 제품을 릴리스할 때 시작하여 더 이상 지원하지 않으면 끝나게 됩니다. 이런 지원이 끝나게되면 개인 정보를 도용하려는 유해한 바이러스, 스파이웨어 및 기타 악성 소프트웨어로부터 사용자의 PC를 보호할 수 있는 보안 업데이트를 더 이상 받을 수 없게되므로 필히 최신 버전 OS 를 설치해야합니다. 오늘은 우리가 사용중인 Windows 의 수명을 알아봅니다. 마이크로소프트 홈페이지의 제품 지원 부분에서는 'Windows 수명 주기 팩트..
윈도10은 자리를 잠시 비우고 돌아온 후 PC가 절전모드에서 복귀할 때마다 암호를 입력이 해야하는데 이것이 귀찮게 느껴질때가 있습니다. 물론 보안을 생각하면 자리를 비운 사이에 마음대로 바탕 화면을 볼 수 없도록하기 위해 암호를 다시 입력은 필수라고 할 수 있지만 집에서 작업하는 경우 등은 여러 번 암호를 입력시켜 되는 것이 불편하게 느낄 수도 있는 것이죠. 오늘은 이렇게 PC가 절전모드에서 복귀할 때는 암호를 묻지 않는 방법을 소개할까 합니다. 따라하기1. 윈도10 설정 - 계정 - 로그인 옵션 을 선택합니다. ▼ 2. '로그인 필요' 항목에 현재 다시 Windows에 로그인을 요구하는 값이 '이 PC를 절전 모드에서 해제할 때'로 되어 있는데 이것을 '표시 안 함'을로 변경하면 완료. ▼
PC를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Windows Update"등의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활용하여 OS 나 응용 프로그램의 최신 버전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Windows의 경우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Update 기능을 이용하게 되는데 가끔씩 원인응 알수 없는 에러나 기타 이유로 업데이트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에러발생시 '0x80073712' 또는 '0x800705B '같은 에러 코드가 제공이 되나 전문가가 아닌이상 자력으로 이들 코드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기는 힘이 들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Microsoft에서는 'Windows Update 오류 해결'이라는 사이트를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이 사이트에서는 단계별 마법사 형식으로 화면의 안내에 따라 절차를 진행 나가는 것만으..
윈도우에서 불필요한 응용프로그램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제어판 - 프로그램 기능 메뉴'에서 해당 프로그램을 삭제합니다. 하지만, 윈도우 10에서는 아래와 같이 3가지의 다양한 방법으로 삭제가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제어판 - 프로그램 - 프로그램 및 기능 기존의 윈도우와 유사하게 '제어판 - 프로그램 - 프로그램 및 기능'에서 대상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삭제합니다. 여기서는 아래의 시작메뉴를 이용한 기본 삭제 방식과 달리 스토어를 통하지 않고 별도로 설치한 프로그램의 삭제가 가능합니다. 시작메뉴에서 바로 삭제 시작메뉴에서 해당프로그램에 마우스 오른메뉴를 호출한 후 '제거'를 클릭합니다. 윈도우 10에서 가장 간편하게 응용프로그램을 삭제하는 방법으로 윈도우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앱은 삭제가 ..
윈도우 10은 MS 에서 가장 최근에 출시된 최신 OS인 관계로 프로그램 패치가 상당히 자주 되는 편입니다. 따라서 종료시나 부팅시에 업데이트 시간을 상당 부분 할애해야 하는 번거러움도 발생하죠. 윈도우 10은 자동업데이트가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고 그 설정을 해제하기 위한 별도의 옵션을 제공하지 않아 잦은 업데이트로 고통(?)을 받고 계신 분들에게 업데이트 기능을 해제하는 팁을 소개합니다. 설정방법 1. 키보드의 '윈도우키 + R'을 눌르면 실행창이 나옵니다. (윈도우키는 CTRL과 ALT키 사이에 있어요.) 여기서 gpedit.msc 를 입력후 확인을 누르면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창이 나타납니다. ▼ 2.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 메뉴 , 컴퓨터 구성 - 관리템플릿 - Windows 구성요소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