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사용 시... 갑자기 프로그램이 동작하지 않거나 시스템이 다운될 경우, 원인 모를 바이러스에 감염될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PC 재부팅 후 안전모드로 시작하여 문제를 시작합니다. 이때, PC를 안전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F8'키를 눌러야 하는데 대부분의 유저가 'F8'키를 눌러야할 타이밍을 정확히 알지 못하기에 Windows 부팅 메뉴가 표시될 때까지 'F8'를 계속 누르게 되며, 이 타이밍 또한 놓쳐 버려 다시 시스템을 재기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종종 발생하곤 합니다. 이에 본 블로그에서는 'MSCONFIG'를 통한 시스템을 안전모드로 전환하는 또 다른 방법을 하나를 소개합니다. ▣ Windows XP/Server 2003 1. 시작 - 실행 - MSCONFIG 를 입력 - 엔..
최근 이슈가 된 디도스(DDOS)공격으로 인해 많은 분들이 뉴스나 인터넷에 나오는 지침데로 여러분의 PC를 안전모드로 들어가 전용백신으로 검사를 하는 등 대비를 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8일 오전 9시 현재 PC하드디스크 손상 신고 건수가 444건으로 집계되었는데요. 문제는 분산서비스거부(디도스·DDOS)는 PC뿐만 아니라 지금은 대중화 된 스마트폰도 DDOS의 위험에서 그리 안전하지는 않다는 것입니다. 경찰청 블로그 '폴인러브'는 일반 PC뿐만 아니라 스마트폰도 분산서비스거부(디도스·DDOS)로부터 안전할 수 없어 스마트폰용 백신을 내려 받는 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고 공지하였습니다. 현재 스마트폰의 인터넷 매개체인 와이파이(WiFi·무선랜) 등에 보안이 설정되지 않을 경우 누구든 접속이 가능하..
7월 7일 발생한 DDoS 공격으로 인해 정부기관과 금융권과 주요 포털 등의 사이트들이 접속이 지연되거나 접속 자체가 불가능한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청와대를 비롯해 한미 주요기관 홈페이지를 교란시켰던' 디도스'라불리는 DDoS 공격이 어제부터 2차 공격을 감행하고 있는데 이번 주요 타깃은 정부기관과 공공기관에 대한 보안관제를 벌이는 국가정보원 사이버안전센터 사이트로 오후 7시 정도부터 접속 장애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DDoS 공격의 주범으로 알려진 'Win-Trojan/Agent.67072.DL'바이러스는 단독으로는 동작 하지 않으며 uregvs.nls (V3 는 BinImage/Host 로 진단 한다.) 파일내 공격할 호스트와 공격 시간등을 토대로 수행 하게 되며 uregvs.nls 파일은 Win-Tr..